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염난아이티 입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서버 사이드 랜더링(Server-Side Rendering)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Client-Side Render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서버 사이드 랜더링"이란?

서버 사이드 랜더링(Server-Side Rendering)은 웹페이지의 HTML을 서버에서 미리 랜더링하여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2.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이란?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Client Side Rendering)은 웹페이지의 기본 HTML을 먼저 로드한 후,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실행해 동적으로 콘텐츠를 랜더링 하는 방식입니다.

 

3. 서버 사이드 랜더링 특징

  • 빠른 초기 로딩 : 완성된 HTML을 받아 바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
  • SEO 친화적 : 검색 엔진이 완전한 페이지를 쉽게 크롤링할 수 있음
    • 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
  • 서버 부담 증가 : 모든 요청에 대해 서버가 페이지를 랜더링 해야함
  • 페이지 간 전환 속도 느림 : 새 페이지 로드 시마다 서버 요청이 필요함

4.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 특징

  • 초기 로딩 속도 느림 : 브라우저가 Javascript를 실행해야 페이지가 보임
  • 빠른 페이지 전환 : 한 번 로드된 데이터로 동적 UI 업데이트 가능
  • SEO 불리 : 기본 HTML이 비어있어 검색 엔진 크롤링이 어려움 (하지만 Next.js 등의 기술로 보완 가능)
  • 서버 부담 감소 : 대부분의 랜더링이 클라이언트에서 이루어짐

 

5. 서버 사이드 랜더링과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 비교

구분 서버 사이드 랜더링 SSR 클라이언트 사이드 랜더링 CSR
초기 로딩 속도 빠름 느림
페이지 이동 속도 느림 빠름
SEO 유리함 불리함
보안성 높음 낮음
사용자 경험 낮음 높음
서버 부하 높음 낮음
개발 난이도 낮음 (일반적인 웹 개발) 높음 (복잡한 SPA 구조)
캐싱 불가능 가능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염난아이티 입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야기할 때 꼭 나오는

CSP, MSP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CSP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약자로 Cloud Service Provider 입니다.

자체 데이터센터에 보유한 가상화 서버, 네트워크, 상면 등 IT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및 솔루션 전반을 콘솔로 제공하며 퍼블릭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등 다양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하여 제공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CSP의 예시는 AWS, MS Azure, GCP 등이 있다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2. MSP란?

관리형 서비스 공급자의 약자로 Managed Service Provider 입니다.

무언가 다소 애매한 의미로 보이는데 MSP는 CSP와 클라이언트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MSP는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운영, 관리서비스 제공, 기술 지원 등의 전반적인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MSP의 예시는 삼성SDS, 현대오토에버, LG CNS, SK C&C가 있다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 겁니다.

 

3. CSP와 MSP의 역할 차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CSP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역할이면

MSP는 CSP 클라우드를 활용하여 특정 기업에 환경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 입니다.

 

이와 같이 CSP와 MSP의 역할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으나,

최근 MSP의 규모가 커지자 CSP는 전문 MSP와 파트너쉽을 맺거나, MSP를 직접 인수하여 역할이 통합되는 추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NHN클라우드가 MSP 회사인 인재INC를 인수하여 여러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 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