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World◀/IT Basic
GSLB란? (Global Server Load Balancing)
수염난아이티
2025. 1. 18. 19:4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수염난아이티 입니다.
이번 페이지엥서는 GSLB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GSLB의 정의
GSLB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데이터센터나 서버에 걸쳐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서버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가장 최적화된 서버를 선택해 안정성과 성능을 극대화 합니다.
2. GSLB의 특징
- 지리적 분산: 데이터 센터가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어 트래픽을 지역별로 분산 가능.
- 지능형 라우팅: 사용자의 위치, 서버의 부하, 네트워크 상태 등을 기준으로 최적의 서버를 선택.
- 다양한 트래픽 관리 방식: DNS 기반 라우팅, Anycast, 클라우드 네트워크 활용 등.
- 장애 복구(Failover): 특정 데이터 센터가 다운되었을 경우 다른 데이터 센터로 자동으로 트래픽을 전환.
3.GSLB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성능향상 : 사용자가 가까운 데이터 센터로 연결되어 대기시간(Latency)이 감소
- 고가용성 : 장애 발생 시, 다른 서버로 전환되어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
- 트래픽 최적화 : 서버 부하를 분산해 과부하를 방지
- 유연성 :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통합 운영 가능
- 단점
- 구현 복잡성 : 설정 및 유지보수가 복잡하며 전문 지식이 필요함
- 비용 부담 : 여러 데이터 센터와 글로벌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데 높은 비용 발생
- DNS 지연 : DNS기반 라우팅 시, TTL(Time-To-Live) 설정에 따라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 넷플릭스, 유튜브 등은 GSLB를 통해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스트리밍
- e커머스 플랫폼 : 아마존은 전 세계 고객들에게 신속한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GSLB 활용
- 클라우드 서비스 :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 은행 및 금융 서비스 : 글로벌 금융기관이 실시간 거래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고가용성을 확보
- 적용 범위
- GSLB: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데이터 센터 또는 서버 간 트래픽을 관리하며, 전 세계적으로 최적의 서버를 선택.
- Load Balancing: 단일 데이터 센터 또는 특정 네트워크 내 서버 간 트래픽을 분산해 부하를 줄임.
- 라우팅 기준
- GSLB: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 네트워크 상태, 서버 가용성 등을 고려해 트래픽을 분산.
- Load Balancing: CPU 사용량, 메모리, 요청 수와 같은 서버의 내부 상태를 기준으로 트래픽을 균등하게 분배.
- 목적 및 활용 사례
- GSLB: 글로벌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고, 다중 데이터 센터 환경에서 고가용성을 제공. 예: 글로벌 웹 서비스, CDN.
- Load Balancing: 데이터 센터 내 서버 간 부하를 균등화하여 성능을 최적화. 예: 단일 지역의 애플리케이션 서버 관리.
4.GSLB의 사례
5. GSLB와 LB(Load Balancing)의 차이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